수시 추합말이에요~
ㅇㅣ번부터 수시에도 대기번호 줘서
정시처럼 추가합격 있을거라는 말 있었잖아요
사실인가요??? 연고대 모든 수시전형에 적용되나요???
그럼 사실상 정시로 가기가 작년보다 더 힘들어지는 거 아닌가요?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사람들 연봉/살아가는 인터뷰가 재밌더라구요
-
ㅇㅈ 11
스와힐리어의 ㅅ도 기억 안 남 ㅋㅋㅋ
-
이번까지 망하면 남에게 피해끼치지 말고 끝내자 근데 아직까지 이렇고 있네
-
울적하군 3
언젠간해결되겠지...
-
반갑습니다
-
힛! 0
잠아 오라
-
세상이 우릴 때리는 이유는 우리가 잘자라길 바라기 때문이지 않을까요 좋은글 봐서 공유함
-
15일 연속의 게시글의 힘이구나 이게 흑흑흑
-
원래 민초파인데도 이건 맛이 너무 역했음...
-
오르비서버왜이래 2
오늘도렉걸리네
-
나 지금까지 수 > 뉴인줄알앗는데 현우진 이미지 커리큘럼보니까 걍 같은곳에 잇네…? 무ㅜ냐…??
-
잘까 밥 먹을까 0
흠
-
빚많은 것도 능력임 10
오징어겜에서 100번남이 한 말인데 아예틀린말은 아님 한국사회에서 빚없는 사람이...
-
0배 퇴직하셨다
-
우리나라도 급성장한 시기때 많은 기회가 생기고 나라에 돈이 모였던 것처럼 미래에...
-
진심으로 ㅈ반~평반 가서 내신만 주구장창 팔 거임 1-1 어차피 애들 다 열심히 할...
-
새벽엔 4
탐구
-
삼반수 ㄱ? 1
현역(백분위) 83 80 2 84 81 재수 98 81 2 81 91 삼반수 할까...
-
빚갚을생각하면서 자러갈거임
-
민트초코 디핑 푸욱!
-
고양이는강아지보단외로움을덜타니깐키워도되지않을까?
-
남 눈치를 덜 보고 자기 주장은 강한편이지만 자기 기준에서 합리적인 반박은 수용하는...
-
잘자요 좋은꿈꾸시고 내일도 화이팅.
-
어우 허리가 넘 아픔 응원 체험 했더니ㅋㅋ
-
아빠가 힘들게 번돈으로 난 재수나 하고 있네...
-
이제 내일이면 0
합격 발표 나오는 주간이 되는군요 길고 긴 시간이었다…
-
본인의 4수 생활 + 펑펑 놀던 중고등학교 시절 + 앞으로의 대학생활 이것들을...
-
5억? 10억?
-
왜세시? 2
왜세시이십분???
-
자퇴 안 했으면 여기 가야 햇슴
-
다른 책 병행없이 수학만 하루에 6시간내외로 할때 월~토 한다고할때 다 푸는데...
-
동국대라해서 캠퍼스어디냐 물어보니 서울캠.. 이라길래 호텔경영이라함 검색해보니...
-
플렉스 1
-
Flex ㅇㅈ 3
멜 샀음 ㅈ사기 오피챔 캬
-
왜 난 계속 그대로지 나만 이럼?
-
그냥... 평범하게 결혼해서 평범하게 애키우고 살고싶음 근데 그게 아예 안되니까...
-
제발 붙어라
-
다들 이거 보셈 5
보고 야식먹고 살찌셈 ㅋ.ㅋ
-
ㄹㅇ
-
올해 언미물지 99 92 2 88 80 이었는데 한양대 달아놓고 서연고 상경 목표로...
-
자자 0
ㅃㅇ
-
왜냐면 투자할만한 가치가잇는 집도업ㅎ고 지방에서 잘산다 소리들을정도면 굳이 돈에...
-
생각보다 가격이 많이 나가진 않아서 놀람 주상복합이라그런가 뭐 그냥 살기 좋으면...
-
소화가 안돼
-
저는 절대로 서울 강남 대치동에 거주하는 부자집 아들이 아니라 대전 중구 언저리에...
-
슈냥님.. 0
….
-
다들 3
너무 싫어하는 쟨 인성 안좋아서 망하겠지 하던 애가 명문대 가거나 잘 된거 어케...
-
예? 3
예.
-
응 우리집 아니야 응 우리집 아니야 응 우리2ㅣ1 아닞8 으우두일1ㅣ 탐짇ㅇ 응...
연고대는 하기로 했습니다.
추합 인원이 얼마나 될지는 모르지만 적진 않겠죠.
연대 정시 모집 인원이 늘긴 했지만 이월 인원이 사라지면 느는 것도 아니고, 고대는 정시 인원 자체가 줄었죠.
정시로 가기 어려워지는 거 아니냐는 질문 자체가 새삼스런 질문입니다.
교과부도 수능에 부정적이고 대학들도 수능을 신뢰할 만한 지표로 취급하지 않아요.
논술을 비롯해 수시 전형들이 여러모로 문제가 많은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시 비중을 대학들 스스로가 오랫동안 차차 늘려온 건 수능을 그만큼 불신하기 때문입니다.
이미 정시가 갈수록 어려워지는 건 기정사실인 거죠. 자격고사화가 멀지 않았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저도 이 뭐 같은 시험 싫어도 어쩔 수 없이 준비했는데, 나중에 와선 인원 줄이고 다른 걸로 뽑겠다니까 빡칩니다. 별 수 없죠, 뭐.
그렇군요ㅜㅜ 답글 감사합니다~
대학들이 수능을 신뢰하지 않는다는 말은 좀 틀린거 같아요..
논술전형 우선선발에서 언수외1 때려 넣는건 수능 잘 본 학생 뽑겠단 거잖아요
'대학들이 수능을 신뢰하지 않는다'는 말도 맞고, '대학들이 수능을 신뢰한다'는 말도 맞습니다.
사실 대학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특목고, 자율고 등 평준화 시스템 안에서도 소위 명문고 학생들의 유치,
본고사 급 난이도를 갖춘 대학별고사의 시행
으로 귀결되는데 저걸 노골적으로 드러낸다는 건 3불 브레이커가 되겠다는 거고 실정법을 무시하면서까지 무리수를 둘 대학은 없어요.
결국 위의 것들을 노골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에서 100%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현실적으로 저러한 목표들을
어느 정도 달성할 수 있는 수단이 바로 '수능 고득점자 입도선매'이지요.
올해 잘만 찾으면, 수능 보고 나와서 가채점 결과 확인하는 순간 대학합격을 확정지을 수 있는 모집단위들이 몇 곳 있기는 하지요.
대학들은 정확한 학생 수준 파악을 위해 객관적 지표 뿐 아니라 주관적 지표들까지 고려하고자 합니다.
수능 영향력이 절대적으로 적은 입사제 전형 인원이 갈수록 늘고 있고, 논술 전형의 수능 반영은 논술만으로 뽑긴 어려우니 하는 거지요.
수능 영향력이 계속 줄어드는 게 기본적인 추세이고, 수능에 대한 불신이 반영되었다 보는 게 맞습니다.
전국 학생 모두를 단 한 번의 시험(그 내용조차 편협한)으로 평가하는데 신뢰하긴 어렵죠.
여전히 유효하긴 하지만 수시전형이 개선되고 확대되면서 수능은 약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본고사를 부활시키지 못한다 해도 수능보다 신뢰할 만한 지표를 만드는 건 대학으로서 충분히 가능한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