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생들의 치를 떨게한 20년전 극악의 불수능 이야기
1996학년도 수능
(난이도 : ★★★★★, 199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버금가는 수준의 지옥불수능)
△ 1996학년도 수능 배치표
1996학년도 수능은 1995년 11월 22일에 실시되었다. 마지막 200점 만점 수능이었다. 1997학년이 역대 최악의 불수능으로 워낙에 유명한데다, 200점 만점 시절이라 잘 알려지지 않아서 그렇지 96 수능 역시 상당한 불수능이었다.
전국수석이 188.7점인데, 400점으로 단순환산하면 377.4점이다. 자연계 164.0점(400점 환산 시 328점)이 0.6%였다. 특히 언어영역이 매우 어렵게 출제되어 수험생들을 1교시부터 멘붕에 빠뜨렸다.
1997학년도 수능
(난이도 : ★★★★★, 역대 최고 난이도의 리얼 지옥불수능)
△ 1997학년도 수능 배치표
단지 문제 난이도만 높았던 것이 아니다. 95 ~ 98학년도 수능은 역대 수능 사상 시험범위가 가장 넓었다. 즉 수험생이 공부해야 하는 과목 숫자가 자그마치 12~14과목으로 역대 가장 많았던 수능이었다. 고작 반절에 불과하는 6~7과목만 치르는 현재의 수험생들이 보면 기절초풍할지도 모른다.
한편 96학년도 수능에서부터 등장한 탐구영역에서의 과목간 통합형 문제가 97학년도 수능에서 본격화되었다. 그리하여 예컨대 , , 등이 마구마구 출제되었다. 요즘처럼 자신이 선택한 과목만 치르는 시스템에선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다.
여러 가지 수치가 그 비범함을 말해주는 수능이다. 400점 만점에 373.3점을 받은 제주 대기고의 서준호 학생이 자연계 전국 수석을 차지했으며,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부로 진학하였다. 자연계 차석 (전국 차석)은 371.7점이었다. 인문계 수석은 370.2점, 여자 수석은 368.7점(재수생, 자연계 전국 5위)이었다.
총점 기준으로 전국 4%가 원점수 400점 만점에 인문계 279점, 자연계 286점이었다. 1%선은 인문계 308점, 자연계 313점에서 형성되었다. 참고로 당시 서울대 법학부의 입학 평균 성적은 330점 근방에서 형성되었다. 그리고 320점만 받아도 서울대의 웬만한 학과에 지원할 수 있는 점수였다. 한편 300점만 받아도 서울대 중하위권 학과를 갈 수 있었다.
과목별로 언어영역의 경우에는 120점 만점에 97점 정도(100점 만점에 81점)가 상위 4%정도였으며(당시에는 등급의 개념이 없었다) 110점 이상(100점 만점으로 91.67점)이 전국에 487명(전 수험생의 0.06%, 자연계 217명, 인문계 269명, 예체능계 1명)밖에 없을 정도로 매우 어려웠다. 만점은 존재하지 않았고 116~118점인 수험생이 인문계 7명, 자연계 3명이었다.
이렇게 1997 수능이 유별나게 어려웠던 것은 논술을 제외한 대학별 본고사가 완전히 폐지된 첫 해이기 때문에 수능이 본고사를 대체할 성격을 띠어야 했기 때문이었다. 이 때문에 "공부를 아무리 하더라도 수능은 풀 수 없다"며 공부를 포기하는 학생들이 늘어났다. 그 때문인지 98학년도 수능은 97학년도 수능에 비해 매우 쉽게 출제되었다.
또한 이 수능부터 수리탐구영역(I)에서 주관식 단답형 문제가 최초로 출제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다만 지금의 주관식 문항과는 조금 달랐는데, 당시에는 25~30번까지가 주관식 문제였고, 25~29번은 두 자리의 정수가 답이며, 음수가 허용되어 음수이면 음수 부호 칸(Θ)에 따로 마킹을 해야 했다. 또한 30번 문제는 소수 둘째 자리까지 표시해야 한다. 그중에서도 29번(주관식 5번)문제는 인문계 1.25%, 자연계 1.09%의 정답률의 극악의 난이도를 자랑했다. 기출 문제집을 풀다가 소수점까지 표시하란 문제가 튀어나오면 이 시절 나온 문항이란 이야기다. 이러한 주관식 답안 표시는 2005년 수능 이후 전 문항 '세 자리의 자연수'로 바뀌어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다.
-----------------------------------------------------------------------------
재미로만 보시길 바랍니다~
절대평가제를 하네 마네 이야기가 나오는 지금의 상황과는 완전히 달랐던 옛날 이야기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딱 알았다 2
화독문 순으로 풀면 좆된다 N년동안 고수한 화문독 순으로 풀어야겠음
-
바로 '산술기하평균' 다들 한번씩 보고가세요
-
만점자가 그렇게 많이 나올정도인가 싶음..가형하던 사람들이 재수생이라 공통수학...
-
어둠의 스킬 다먹혔음 ㅋㅋ
-
지리인거 같음. “항상 예외가 존재하기 때문에”..
-
틀린걸 다시푼다 If(풀린다){ 파랑동그라미 표시 } Else{ 해설지를 본다...
-
주혜연 쌤 듣고 등급 많이 오르셨나요? 그리고 영어 노베한테 괜찮은가요?
-
그 대학은 갈 수 있는데 원하는 과는 성적 안되서 못감 근데 자유전공에서 전과할 수...
-
강대x는 2등급대 고정인데 더프는 무슨 4가 쳐나오는데 무슨 일이죠 이거 항상...
-
어려운거는 무서우니 안풀 예정
-
2000명 예상함 ㅋㅋㅋ 뭔가 범부 조지는문제가 제역할을 못할것같음 24 눈치보느라...
-
써도 ㄱㅊ을까요? 오답까지 하면 좀 기준이 이감식으로 변할까봐
-
현역 연대 아동가족, 서강대 경영, 중앙대 전전 재수 연대 공대(전화기), 성대...
-
이 중에서 하나만 할 예정
-
점메추 해드려요 12
고고
-
기하 공간도형 1
공도 해도 감이안잡혀서 그냥 놨는데 이번 9모에서 27 28 손안대고 93떴는데...
-
그래서 시간은 어떻게 줄이냐고
-
영어 2등급 0
영어 2등급 맞고 싶어요 조정식 더데유데는 시간내에 풀지도 못하고 한 4개는 찍어요...
-
입대 확정 10
-
보통 언제쯤 나와요?
-
문제 끼적거려 보고 이거 내가 풀 수 있는 문제인지 3분안에 구별하는 능력 근데...
-
상상5-8 국어 1
5-8이 파이널2 8회임? 글고 등급컷 어케봄 사이트 안들어가지던데
-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
이런거라도 제발
-
분컷 82점 낮2
-
수학 수특 수완 0
연계율 높아져서 꼭 풀어야한다는 사람도 있고 어떤 인강쌤 중에서는 다 푸는건...
-
23&24국어 둘다 진짜 존나 어려운 시험이라고 생각함 7
다르게 둘다 개어려움 24는 거저주는문제없이 개별문항의 허들이 적당히 높다면 23은...
-
휴ㅡ
-
왤케 어렵지.. 내가바본가ㅜㅜㅜㅜㅜㅠㅠㅠㅠ아아악 함정이왤케많은거같지 해석은되는데...
-
작수는 22 28 두개였는데
-
ㅠㅠ 또 나만 어렵지..
-
1회보다 쉬웠다는평이 많은데 점수 똑같음 ㅋㅋ 가나지문 항상 날려서그런가 이감이든...
-
진짜 해본사람 좀 있음? 마음에 들어도 용기가 안나던데...
-
이맘쯤되면 번개장터 같은곳에 사용 다 못한 교재캐쉬 올라오는데 그런거 사면 훨씬 사게 사더라
-
쌍윤이고 사설 봐도 둘다 1나오긴해서 그냥 좀 덜하고 국수 더 할까 생각중이기도한데...
-
일단 찍었고, 이제 다음 목표 90k, 한화 1.5억
-
정시파이터는 5
학기초부터 철판깔고 하는수밖에.. 몰공은 가능한데 에어팟끼면 ㅈㄹ함
-
30번은 되게 쓱쓱 풀어서 실수 안했음 맞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아쉽네요...
-
뭘 말하는지 이해를 못하겠다
-
현대소설 ebs 0
현대소설중에 연계아니면 어렵다 하는거 죰 알려두세요 그거 위주로 듣게요
-
오늘 작수 문제 풀어봤는데 20번까지 푸니깐 시간이 끝이더라구요 (선택은 안...
-
님들 황해 난류가 겨울에만 생기는 거 알고 있었음? 1
수완에 겨울에 황해난류거 더 강하대서 찾아봤는데 여름엔 황해난류가 생기지도 않는대요...
-
휴 힘들었다
-
서울대 정시 일반 전형에서 대부분 내신 bb를 받는걸로 알고있고, 저는...
-
https://naver.me/5gFTs2QX
-
네
-
주문해놓은 상태라 하루 안 먹었는데 비타민 먹고 안 먹고 차이가 진짜 심하네… 안...
-
[칼럼]김종익 강사님의 오개념 이슈 (1) 싱어의 해외 원조론 25
안녕하세요. 백양나무입니다. 아래 글을 보고 김종익 강사님의 오개념과 관련하여 글을...
-
메가는 작년 사전예약도 60만원정도 했던걸로 기억해서 이번에도 비쌀 것 같아...
-
10번 15번
저때 절평하면 1등급 없을지도
절평하면 1등급은 존재하지도 않았을겁니다. 400점 만점에서 80~90점을 까도 서울대 프리패스였던 시기..
서강대 공학부랑 의대가 같이 있네 지금은..
개꿀잼 헬파티
2002년도 유명한 불수능인걸로 아는데..교육부장관 욕 엄청먹고
97 수능과 비교하기는 그래도 무리죠. 일단 97년엔 수석이 370점대였지만 02년엔 390점 넘은 사람들이 여럿 있었기 때문에..
그때 문과 6등하신 갓-정식
우와..
절평하고 수능 저렇게 내면 상관없을듯
저당시 수능이 어려워 좋았던 점은 한과목 망해도 다른과목 잘보면 명문대 가는게 가능했던 시절이라는 거죠..
제가 아는 분은 96수능(200점 만점) 보신분 있는데, 수학을 40점 만점에 18점 받았는데, 총점 158점 받고 연대 경영 가셨죠..
요즘엔 꿈도 못꾸는 이야기죠...
ㅋㅋ 음수마킹 ㅋㅋ수리탐구영역ㅋㅋㅋ 등급제가 없어 ㅋㅋ 서울대 321점?ㅋㅋㅋㅋ 과목 12개 미칰ㅋㅋ 물리+생물 ㅋㅋㅋ지리낰ㅋㅋ 와뭐냐 ㅋㅋㅋ 같은 지구에서 일어났던 일 맞냐 ;;;
경희대 한의예보소ㄷㄷ갓..
어떤 의미로는 진짜 수능스럽네요
조선의 고신의 어딨는거야;;;
경한이 엄청 높네요
경한..저때는 추합으로만 붙어도 붙는 거라며 엄청 기뻐했드랬죠..ㅎ
고조외삼촌이 경한 다녔는데 예비 간신히 합격했다는...ㅋㅋㅋ
랜닉 ㅇr재...
성대기계공대가 동국대 하위공대급이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