뜬금없지만, 철학적? 질문 좀 할게요.
우리는 왜 이렇게 생에 집착하는 것일까요?
친구들한테 이런 질문하면 "헛소리 아닥" 이라고 들을게 뻔하기 때문에,
근데 뭔가 의견을 듣고는 싶고해서 ㅋㅋ.. 올려봅니다
제 주위를 둘러봐도, 이 세상의 소식으로 전해지는 많은 사람들을 봐도 다 열심히 삽니다.
그리고, 제 눈에는 정말 많은 사람들이 생에 대하여 상당히 집착하는 거 같습니다.
생에 대하여 집착할수록 더 힘들고 고통스러운데, 왜 그러는걸까요?
제가 제대 후에 기고만장하게 수능 준비했다가 일이 꼬여 시험치지도 못한채 허리디스크 걸리고 손목관절 상하고
왼쪽 귀 고막이 상하게 됬습니다.
건강에 자신있었던 제가 갑자기 몸이 이렇게 망가져 버리니, 상당히 스트레스가 오더라구요.
더군다나 수능도 못치게 되면서 태어나서 처음으로 우울증을 진짜 심하게 겪었습니다. 한달정도.. 거식증까지 와서 한달만에 9kg 빠짐
한 3년가량을 간절히 꿈꿔왔던 목표가 있었는데 실패했으니까요. (물론 저보다 더 힘드신 분들도 많이 봤습니다만..)
정말 너무너무 힘들었는데 제가 조금씩 극복하고 이겨낼 수 있었던게 이런 마음을 먹고나서 부터입니다.
너무 힘들었다가 조금씩 나아졌을 때 썼던 일기를 옮겨와보면
2012.8.26
인간의 유한함을 인식해라
생에 대한 집착을 버려라,
욕심을 버려라.
모두다 흙으로 돌아갈지어다, 나는 길고긴 우주역사의 먼지만도 못한 순간을 잠깐 스쳐갈 뿐이다.
생에 대한 집착은 불만과 불행만 초래할 뿐이다. 놓아라.
지금보면 완전 오글거리지만ㅋㅋ 당시에는 제 멘탈을 회복하기 위해 정말 진심으로 썼던 글입니다;;
그나마 저 글을 쓰면서 스스로 "생에 대한 집착"을 떨치려 무던히 애썼습니다.
나름 애썼더니 우울증은 사라졌고, 이제는 당시를 생각하면 씁쓸하지만 우습기도 하구요.
정말 한 6~70년만 더 살다가 눈감으면 모든게 끝이고, 나의 의식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데
왜 수백억년의 우주역사중에 정말 먼지만도 못한 순간을 이렇게 집착하며 아둥바둥 살까요?
좀 더 좋은 학교, 좀 더 좋은 직장, 좀 더 좋은 배우자, 좀 더 좋은 집, 좀 더 좋은 ~~
집착을 거두면 스트레스받을 게 없어지는디..
그렇다고 욕심도 없이 포기하고 살자는 게 아니고,
적당한 욕심을 가지고 열심히 노력하되, 집착하지는 말자는.. (주어진 상황을 무리하게 거부하지 말자는..)
그래서 요새 불교에 관심이 많이 생기더라구요. (전 기독교이긴 하지만;)
불교에서 집착을 멀리하라는 가르침이 있잖아요.
새벽되니까 감수성 돋아서 뻘글 썼네요. 내일 아침되면 민망해지겠죠 ㅋㅋ
하지만 많은 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어요 ㅋㅋ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013년 LEET에 출제되었던 과학 지문입니다. 수능의 일반적인 비문학 난이도를...
-
수시 지원하시는 분들은 6월 모평 성적으로 원서를 쓰죠? 이백여일 남았다구요?...
-
금요일날 올려야 될 과제를 오늘 올립니다. (선생의 게으름을.... 용서하기...
-
4월 1주 2차 과제(수) 입니다. 봄 꽃이 만발했습니다. 여러분의 실력도 그렇길...
-
오르비 초기화면에 제가 올리고 있는 비문학 연재가 노출되면 조회수가 조금 올라가고...
-
오늘 공부할 지문은 2013년 LEET 인문 지문입니다. 주희의 사상을 설명해 주고...
-
매주 월, 수, 금에 과제 형식으로 자료를 올려 드리고 있습니다. 3월부터...
-
지난주부터 '이것도 비문학이닷' 시리즈로 매일 한 지문 씩 문제와 해설을 배포하고...
-
[김대기 T] 벌써 잊었다면 넌 이미 진거다!!!! 0
아침에 습관적으로 집 앞을 한 바퀴 산책을 합니다. 어제까지 눈에 띄지 않던...
-
[김대기 T] 3월 네째주 3차 과제(금) 매주 월, 수, 금에 과제 형식으로...
-
이것도 비문학이닷! 4일차에서 다룰 지문은 2014년 LEET 사회 지문입니다....
-
벌써 4월이네요. 계획대로 잘들 공부하고 있나요? 오늘 3차 지문은 2014...
-
3월 네째주 2차 과제 배포합니다. 날짜로는 4월로 넘어 섰는데 주수로 계산하다...
-
'이것도 비문학이닷' 2일차 자료 올립니다. 1일차에서는 조금 난해한 LEET...
-
[김대기 T] 3월 네째주 1차 과제 입니다. 지속성과 성실함의 힘을 믿는...
-
[김대기 T] 이것도 비문학이다 !!!! (1일차) 13
제목이 좀 쎄죠? 관심 받고 싶어서 오버했네요. ㅅ.ㅅ 새로운 한 주가 시작됩니다....
-
어느새 약속이나 한 듯 봄이 찾아 옵니다. 학생들의 두꺼운 패딩이 가벼운 카디건으로...
-
3월 3주차 1차 과제입니다. 3월에 제시될 과제들은 94년 1차 수능부터 03년...
-
[김대기 T] 3월 2주차 3차(금) 국어 과제 배포합니다. 19
안녕하세요. 김대기 선생입니다. 수능이 처음 시작되었을 때 수험생들이 국어를 어떻게...
-
고전문법은 작년부터 출제된 것이라 기출문제가 많이 축적되어 있지 않네요. 지난...
-
문법 문제 모음 세 번째입니다. 이번에 올리는 자료는 통사론과 문법 범주에 관한...
-
[김대기 T] 파이널 문제집의 활용방법에 대한 제언 0
찬바람이 부네요. 수업 시간에 학생들의 복장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긴팔 T셔츠를...
-
[김대기 T] 국어문법 문제 모음 제2탄 (음운현상) 5
1탄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이번에 올리는 자료는 2005년 3월 학평부터...
-
재학생들은 두 번의 모의고사를 치르는 동안 자신의 약점이 어떤 곳이고 어떤 형식으로...
-
안녕하세요. 국어강사 김대기t 입니다. 중상위권 학생들과 상담을 하다 보면 수학이나...
원론적인 얘기로, '생이란 그런 것이기 때문에' 그런 것 아닐까요? 생이 왜 생에 집착하느냐 하면 그저 생이기 때문에 생에 집착한다는..
생은 항상 더 많은 걸 쥐고, 더 유리한 환경에서 더 효과적으로 자손을 남기기 위해 살아왔잖아요. 만약 생에 집착하지 않는 생이라는 것이 있었다면 이미 사라지지 않았을까요? 지금 생의 존재는 생이 생에 집착할때에만 이뤄질 수 있는 것 같아요
저에게 정말 많은 도움이 되는 글 이네요
본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