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학년 A/B시험의 특징 및 공부방향입니다.
오늘 평가원이 6월 모의평가 시행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A/B형 시험의 취지, 그리고 특징을 잘 모르거나, 또는 자신이 좋을대로 곡해하는 친구들도 많아서 이글을 씁니다.
A/B형의 취지는?
아래는 평가원의 보도자료의 일부입니다.
==========================================================================================================================
“국어, 수학, 영어의 경우 수준별 시험(A/B형)을 도입하여 수험생의 선택의 폭을 확대하였고,
수험생이 본인의 진로 등에 따라 필요 이상으로 시험 준비를 하지 않도록 한다.”
“현행 수능에서의 수학 1은 수리 ‘가’형에서 출제되는 수학1의 모든 문항이 수리 ‘나’형과 공통으로 출제되고 있는 바,
수준별 시험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 2014수능 예비시행에서는 수학1에서도 A형과 B형의 문항을 달리 출제함으로써
수준별 시험의 취지를 살리고 응시 집단의 특성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A형과 B형의 공통문항의 수를 축소하였고,
공통문항의 문항 번호 배치도 A형과 B형을 달리 하는 등
유형별 응시 집단의 특성을 반영한 수준별 시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
수학을 어렵게 공부할 필요가 없는 수험생들을 고려한 거 같습니다.
그렇다면 그러한 취지가 시험 난이도에 미치는 실질적인 영향은 무엇인지 그것이 궁금하겠지요.
A/B형의 난이도?
평가원이 공식적으로 확인해 준 멘트는 이 정도 뿐입니다.
=========================================================================================
“A형은 현행 수능보다 쉽게 출제하고 B형은 현행 수능 수준으로 출제하였다.”
=============================================================================
그렇다면 A형이 현행 수능보다 쉽게 출제되는 그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지는 오로지 ‘해석’의 영역에 남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올해 6평, 9평은 입시제도가 바뀐 마당에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의미를 띤다는 것이죠.
아마 평가원 스스로도 6,9평 시험결과를 가지고 수능방향에 대해 설왕설래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수험생의 입장에서는 6,9평의 내용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입시방향까지 최대한 폭넓고 완벽하게 분석해야 함을 강조드리고 싶습니다. 다른 공부보다는 최우선으로 두세요~
그러한 취지에서 만점자 1% 원칙을 배제
평가원 수능출제본부장의 언급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선택형 수능으로 응시자가 나뉘는 만큼 올해는 예년같은 만점자 1%원칙을 적용하지 않겠다.
누가 얼마나 A/B형을 선택할 지는 알 수 없기 때문에 만점자 1%원칙은 적용하기 어렵다.
학생들이 A/B형 사이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모르는 상황이어서 본 수능 출제에 어려움이 있지만
모의평가 결과를 참고해 적정난이도를 유지하는데 노력하겠다
==========================================================================================================
위에서처럼 만점자 1%원칙을 배제하는 이유는 A/B형을 누가 얼마나 선택하는지를 모르기 때문이지,
수능을 어렵게 출제하려는 의도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개중에 불수능이라고 섣불리 판단하는 일이 없어야겠습니다.
그러한 원칙이 있을 때에도 지키기기 어려운 웠는데,
그러한 원칙이 없는 상황에서 난이도는 평가원의 취지나 의도와는 달리 움직일 수가 있겠지요.
태생적으로 A형 자체는 쉽게 출제한다고 했으니, 큰 문제는 되지 않을 것입니다.
단지 기존 (나)형과 비교했을 때 그 구체적인 내용과 수준정도를 비교, 확인하면 될 것입니다.
이에 관련된 글 참조. http://orbi.kr/0003580267
하지만 B형을 기존 (가)형 수준으로 출제한다고 한 마당에, 만점자 1% 원칙이 없어진다면 어떨것이냐가 우리의 궁금사항입니다.
예전 만점자 1%원칙이 없던 시기에 수능의 난이도가 훨씬 높았습니다.
만점자1% 원칙이 생김으로 인하여 수능난이도가 많이 떨어지는 효과를 낳았었죠.
뚜껑을 열어봐야 알겠지만, 그러한 이유 때문에 올해 6평, 9평의 분석이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수험생은 올해 6,9평에 촉각을 곤두세우시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대처할 수 있는 실력을 기르는 수밖에는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능 4점 킬러문항 또는 EBS 수능특강에 나와 있는 신유형, 고난도 문항을 연습할 필요성이 크다고 봅니다.
개념 공부를 어느 정도 한 친구라면, 그리고 수능1등급 내지는 만점을 목표로 공부한다면
교과개념, 수능기출, EBS 중에서 어려운 부분만 골라서 정리한다면 학습효과가 클 것입니다.
저는 그러한 방향으로 오르비클래스에서 킬러문항 집중탐구강좌, EBS변형문제 압축강좌, 6월 평가원 Final 강좌를 준비하니 여러분들이 선택적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http://class.orbi.kr/group/3/
올해 수능의 가장 큰 화두, 세트형 문제
아무래도 바뀐 수능제도에서 내용상 가장 큰 변화는 세트형 문제 등장일 겁니다.
아래는 세트형 문제에 대한 평가원의 입장입니다.
=============================================================================================
하나의 상황에 대한 2개 이상의 세트형 문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어진 상황을 보다 깊이 탐구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기른다.
2014학년도 수능에서 새롭게 출제되는 세트형 문항은
하나의 상황에 대하여 2개 이상의 문항이 포함되는데,
한 세트 내에서 독립된 문항들로 구성될 수도 있고,
앞의 문항이 다음 문항을 해결하는데 실마리를 제공할 수도 있다.
============================================================================================
세트형 문제에 관한 기출이 없기 때문에 수험생이 세트형 문제를 대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EBS일 것입니다. 평가원 스스로가 수능과 연계시키겠다고 공언한 EBS가 가장 확실한 공부자료임은 부인하기 어려운 사실이겠죠.
그렇기 때문에 EBS수능특강의 가장 뒷부분에 실린 세트형 문항으로 우선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풀어보길 권합니다.
시간이 부족해서 EBS를 못 푼 친구나, 또는 다시한번 반복하길 원하는 친구들은 제 EBS변형문제 압축강좌를 활용해 보세요..
현행 EBS 70% 연계는 유지됩니다.
오늘 평가원이 6월 모의평가 시행계획을 발표하였는데, 그 취지를 정확히 이해하고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이상 오르비 클래스 신동훈샘.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저도 갈거같아요 못갈수도있어요 근데 가능성이 높아졌어요
-
근데 아직도 많이 입으시던데
-
적당한 속도와 적당한 거리의 연애를 권장 최대한 많은 사람 만나고 싶다면 ㄱㅊ
-
어허
-
진지하게 이거때문에 어찌할지 고민중입니다..
-
레전드사건발생!!! 학교 다닐때도 2월 14일은 없는 날이였는걸.. 학원을 안다녔응께 사건이 읎네
-
독서 지문 실력 1
강기분 행정 규제 지문 12분 걸려서 다 맞았는데 독서 실력 어느 정도라고 할 수...
-
줄거같나요..
-
개인적으로도 효과를 봤지만 만약 임상효과가 있다면 왜 전 세계덕으로 안 쓰는 거임?
-
거창한거필요없고온갖더러운일이라도할수있으니까돈이1순위임
-
1테라도 부족함
-
힘들게 번 돈으로 야식으로 치킨 먹기
-
걍 자아실현의 일종으로 갖고 싶은거임 그러다보니 약간 자유롭게 생각할 수 있는거 같음
-
진짜 공부 하기 싫다...
-
뭐지 했는데 알고보니 세화고 잠바였음 앞에 S가 가방끈에 가려져 있었음 글고 다시...
-
1월 4일 기준으로 오늘까지 한 거 정리 인생에서 제일 열심히 살았는데 진짜 한게...
-
매월승리 0
주에 두 번 가는 국어학원 다니고 있고 동시에 독서 김승리 올오카 듣고 문학은...
-
상위권 대학에서 추합 많이 도는데 그 밑에 안도는건 1
왜 그러는 건가요?? 게다가 상위권 대학에서는 펑크도 많이 났다고 했는데 그 밑은 많이 폭나고
-
주면 내가 진심으로 대학합격응원해줄게
-
300제로 부족함 전개년 두번씩 볼 가치가 있음 ㄹㅇ
-
세상에 미소년 미소녀 존나 많네 ㅅㅂ
-
폭으로 대학가는 애들 보면 너무 배아프다
-
국수 표점 순서대로 128,141 등급 2,1 탐구 표점 평균 62.5 등급 2,3...
-
시간 고만 유기하고 한 문제만 풀어야겟다 지금잠은 못 자겟네
-
2506 48 2509 50 25수능 50 올1 정시 서울대 자연계열 25학번 진학...
-
아 ㅅㅂ 성글경 붙는다고 생각하니까 왜 한학기 다니고 반수해야할거 거 같지 1
걸고 학고반수하기엔 학점이 너무 아까운데 인과계면 몰라도 글경은 학점 잘따면 좋은데...
-
전 여친 보면서 미국 음대 학부유학이 얼마나 돈이 많이 깨지는 지 제대로 느꼈네요. 6
여친 오빠가 서울예고 졸업하고 미국 음대 학부유학으로 갔는데 돈이 장난 아니게...
-
우리 사촌오빠는 6
삼수해서 한양대 경영가서 대기업 취업하고 초미녀에 초부자에 대천사 성격인 언니랑...
-
한시에잔다 2
한시에. 잠든다.
-
정시러면 ‘꿈‘을 정하지는 말기를 걍 다맞춘다는 생각으로 공부하고 성적 나오면 그 뒤에 고민하시는게
-
수2는 기본적으로 n축보다 다른 정석 풀이를 의도하고 내는데 수2에서도 n축으로...
-
요즘 우제형은 솔랭에서 어떤챔을 쓰는가 이거임 그냥 그래서 요즘 나까지 최우제 솔랭...
-
ㅈㄱㄴ 서강대 경제학과 등록금만 알려주셈
-
기하 팁 드림 4
그림 크게 그리고, 그림 째려보셈
-
현우햄은 따나
-
여자만나고싶다 6
사귀고싶은걸떠나서그냥만나라도보고싶다씨발 20대청춘다날라가네
-
노베 자퇴생 미적분 시작하는데 응원 좀요 ㅜㅜㅜㅜㅜ 6
수학공부 미련하게하다가 오르비에서 칼럼 여러개 찾아 읽어가면서 지금까지 얼마나 공부...
-
아 씨발 내 책 그냥복습용으로써야하나
-
돈 많이 벌어서 결혼하면 걍 하고 싶은 거 하게 냅두고 내가 돈 벌어오고 싶음 나만...
-
글 읽어봤을 때는 훌리가 아니라 꽤 논리적이고 믿을만한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충격이네…
-
그냥 대충 궁금합니다 보통 상위권들한테 호평이 많은거같아요
-
알빠노 어짜피 수의대 가고 싶은데 왜냐면 거기에 수의대가 있으니까
-
언매 아니고 화작인데 가능하려나요 올해 수능 백분위 98 내신때 언매하긴했는데...
-
요즘은 다 할줄 알겟지? 극값찾는거나 불연속이나
-
숙향전 말구요!
-
여사친들은졸업반 나는수험판 죽자그냥
-
작수 쌍윤 둘 다 3 나왔습니다 6,9에서는 2-3 왔다갔다 했어요 예전 기출들...
그럼 ab형 공통문항 출제를 가급적 지양하겠단거면 a형에있어서 수1 문제의 난이도가 어느정도 내려간단 소리겠네요?
아 그리고
자이스토리 수학1 a형을 구입했는데요. (문과에요) 수학1 b형 문제집으로 좋은문제가 다 넘어갔다고 어떤분들이 얘기하셔서... 수학1 b형 자이스토리 문제집도 구매해서 풀어봐야할까요?
ab형 공통문항수가 줄어든건 사실입니다. a형에서 수1 문제 난이도가 어느 정도 내려간다는건 신빙성이 있죠.
그리고 자이스토리 문제집은 저도 잘 모릅니다..
교과개념, 수능기출, ebs 먼저 공부하세요~~~~
자이스토리가 기출문제집이에욤
기출문제집 자이스토리는 알고는 있는데,
내용에 있어서 좋은 문제가 b형으로 다 넘어갔는지 어떤지는 제가 검토 안 해봐서 모른다는 말씀!
아 글쿤요! ㅎㅎ알겠습니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