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난 어원 이야기: "언니=형님"의 가능성
'언니'라는 단어는 사실 19세기 말에야 문증되기 시작하는, 친족 어휘 중에서는 비교적 따끈따끈한 어휘이다. 이 갑자기 튀어나온 어휘의 어원을 다루는 기존 설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고유어 형태소의 결합설. 母을 뜻하는 어근 '*엇('어ᅀᅵ'에 보이는 그 어근)에 모종의 접미사 '-니'가 결합해 '언니'가 되었다는 주장. 그렇지만 만약 그랬다면 어째서 중세국어나 근대국어 문헌에서는 보이지 않는지 설명하기 어렵다. 어근 '*엇(母)'은 근대국어에는 쓰이지 않았으므로 만약 '언니'가 파생되었다면 고대 아무리 늦어도 중세국어에선 '언니'의 선대형이 형성되었어야 한다.
- 일본어 ‘ani(あに)’ 유래설. 형태가 유사한 다른 고유어가 없다는 점에서 다른 언어에서 차용됐다는 주장. 그렇지만 19세기에 차용되었다기에는 하필 기초어휘 중의 기초어휘인 친족어휘가 차용됐다는 점이 문제이다. 신문물의 명칭도 아니고 '동성의 손위 형제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이 차용되기는 어렵다.
그래서 다카요시(2020)에서는 '언니'는 사실 한국어 내적 변화에 의해 형성됐다고 보고 그 변화를 육아어에서 찾았다. 육아어란 성인이 유아를 대상으로 말을 할 때 유아가 발음하기 쉽도록 변형된 단어를 얘기한다.
우선 '어니'가 먼저 등장하긴 하지만 '언니'보다 고작 30년 일찍 문증되기 때문에 문헌만으로 무엇이 선대형이라고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 그렇지만 지리적으로 ‘어니’의 사용 지역이 서울에서 떨어진 해안 지역에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어니'가 고형일 가능성이 있다. 또 유아어에선 단비음보다 장비음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엄마', '맘마', '맴매' 등이 그러하다. 이미 육아어가 된 후의 변화라고 본다면 '언니>어니'보다 '어니>언니'가 자연스럽다. 그렇지만 '형님'에서 바로 '언니'가 나왔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언니'의 기원을
- 형님>어니>언니
- 형님>언니
이렇게 두 가지로 본다. 다카요시는 육아어 연구 내용을 인용하면서 '형님>언니/어니'라는 과정은 한국어 음운사에서는 드물지만 육아어의 특징에는 부합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 /hj/ 탈락: 충청 방언에서 ‘형아’가 ‘엉아’로 변한 사례가 존재한다. 유아가 /h/나 /j/ 같은 음소를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형님'의 제1 음절의 초성이 탈락하였을 개연성은 충분하다.
- /ŋ/ 탈락 및 ‘ŋ > n’ 변화: ‘형님’의 중간 자음 /ŋ/이 사라지거나 /n/으로 대체된 것은 유아 언어에서 조음 위치 동화와 자음 탈락 경향과 일치한다. 자음 연쇄 /ŋn/에 포함되어 있는 두 자음은 서로 조음 위치가 다른데 18개월 이후 유아 언어에서는 조음 위치가 다른 자음 연쇄에서 한 자음을 탈락시킨다고 한다. 그렇다면 '형님>엉님>어님'이라는 변화를 상정할 수 있다. 또, 유아어에서는 /ŋ/ 이 치경음 앞에서 [n]으로 발음되기도 하는데 ‘깡총깡총 → [kʼɑnʨʰoŋkʼɑnʨʰ oŋ]’이 있음. /ŋn/을 기피하기 위해 /ŋn/이 /nn/이 됐을 수도 있다.
- /m/ 탈락: ‘-님’이 ‘-니’로 변화한 것은 유아가 /m/ 같은 자음을 발음하기 어렵다는 육아어의 성격을 반영한다. ‘어마니, 아바니, 할아바니, 할마니, 아주바니, 아주마니, 조부니, 누니’와 같은 친족어의 ‘-니’는 사실 '-님'에서 왔다. ‘-니’형에는 꼭 선행하는 시기에 대응하는 ‘-님’형이 존재한다는 점과 ‘-니’형과 ‘-님’형 사이에는 의미적인 연결이 존재한다는 게 그 근거로, ‘형님>언니/어니’에서 상정되는 ‘-님>-니’의 변화를 ‘어마님 > 어마니’ 등의 변화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임금님’을 나타내는 ‘임금니’, ‘선생님’을 나타내는 ‘선생니’라는 육아어가 없는 것처럼, ‘-님 > -니’ 변화는 친족어에 한정된다. 이는 친족어가 유아 생활에 매우 중요하고, 아직 발음에 대한 제약이 많은 시기부터 사용해야 하는 어휘기 때문이다.
이 '-님'이 다소 이상하게 보일지도 모르지만 다카요시는 ‘형님’의 ‘-님’이 격식과 존경의 의미뿐 아니라 친근함을 나타낼 수 있다고 봤다. ‘해님, 달님’과 같은 예에서 보이듯이, 유아와의 소통에서 긍정적인 정서를 나타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언니'는 현재 여성 사이에서만 쓰이는 말로 여겨지지만 원래는 남성 사이에도 쓰이던 말이었다. 한영자전(1897)에서 '어니'를 동성이기만 하면 쓴다고 뜻풀이하였다.
그니까 19세기 말 문헌에서 ‘언니’와 ‘형님’은 연상의 동성 동기를 나타내는 유의어였다는 거다. 당시 ‘언니’는 남녀 구분 없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현대의 ‘언니’와는 다른 '언니/어니'가 사실은 ‘형님’에서 출발해 어린아이에게 친숙한 육아어로 변형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하나 더 중요한 점은 경상도 방언에서는 ‘형님’과 ‘언니’의 성조가 일치한다는 사실이다. 韓國精神文化硏究院(1989: 141, 1993: 130)에 따르면 경상도 방언에서 ‘형님’도 ‘언니’도 성조가 [HM/高中]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어 기원설보다 '형님'의 변화에서 '언니'가 형성되었다는 설이 훨씬 개연성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참고 문헌
다카요시 (2020), "‘언니’ 어원고(語源攷)", 국어학 93, 국어학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제 충남대 예비번호 1번 받고 기다리는 중인데 진학사 점공에서 어제보다 한 등수...
-
홍익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자린고비 새내기들을 위한 홍익대 장학금 꿀팁]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홍익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홍익대생, 홍익대...
-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한 매뉴얼&팁입니다. 미리 하나 장만해두세요~~...
-
그래프 그리기나 미분적분 연습할만한 문제집이 있을까요?
-
2군데 붙었는데 90년대생이라 나이 안 보는 공기업 취직이 목표입니다. 통학시간은...
-
수학 상하 1
수2 풀면서 수학 상하 부분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현우진 시발점 수학 상하를...
-
방구석에서 화상과외로 시간당 2.5이상을 버는 지금 최저받고 이 일을 더 할 이유가 있을까
-
고민이 있습니다 0
제가 편의점 알바를 병행하며 2026학년도 수능을 대비하고 있습니다만은 편의점 알바...
-
김기현 아이디어 0
워크북이랑 복습용 연습문제 푸는 게 좋으려나? 아니면 걍 본책만 해?
-
경희대,건국대 둘다 무슨 오징어 게임에서 1빠따로 탈락할만한 엑스트라 참가자 번호의...
-
수학 고1 5 -> 고2 3 -> 고3 평가원 고정 1 질받 사문 10모 3 -> 수능 1 질받
-
부모님 이혼하고 지원없이 4년제 학교댕기는데 스스로 벌고 나가서 생활하면서 힘들지만...
-
문제 푸는데에는 정작 별로 안쓰일거같은데 중요한가요?
-
Hi 2
밤 샜음
-
여기 올해 컷 얼마정도일것같으세여??
-
아마 한 2월말부터 n제할거 같은데 뭐뭐하면 좋을까요? 작년에는 쭉 평가원 교육청...
-
성불 ㅇㅈ 10
드디어 뀨뀨대에 가게 되네요 Team 02 이제 수능 그만 보고 성불하겠습니다
-
누구는 사수해서 의대가는데 누구는 사수해서 부경전충을 가더라(당시 사수해서 부경전충...
-
언문독 언독문 2
국어 순서 어케하심?
-
수특 독서 경제 지문 고3이 소화할 수준 맞아...? 9
국어 강사가 막 수특 독서 1회독 끝냈는데 드는 생각이, 다른 분야는 몰라도 경제...
-
탈르비 하신건가요..
-
추합 0
건대 가군 추합 2배수 도는건 기대하기힘든가요 ㅠㅠ
-
누가 연세대 vs 서강대 특정과 선호도 물어본 글에 며칠후에 우연히 다시...
-
49→125명 증원해놓고… 의대 실습실 확충은 ‘0’ 8
“지난해와 비교할 때 실험실, 해부학 실습실은 하나도 바뀐 게 없다. 교원 충원도...
-
엥 고려대 기숙사 정시 원서 쓸 때 선택하면 끝 아님? 0
뭘 더 했어야 하는 거였나요 뭐지 좆됐는데
-
현역 수능: 56353 재수: 43322 지금은 추합기다리고 있고 사실은 재수때...
-
맛잇네여
-
설사범 뭐 내신이 BB인게 잘못이야 아니면 내가 면접을 못한거야 이유가 뭐야 시1발...
-
설마 이걸 몰라서 뉴런을 듣진 않을거 같애
-
경희의vs한양의 0
넷상에서는 둘 다 완전 비슷비슷하다고 하는데 또 주위 사람들은 무조건 경희의가 더...
-
텝스 질문 0
청해 부분 대화 질문 문제 선지까지 다 듣기로만 주는거로 아는데 메모지 같은게...
-
부담스럽다하면 바꿔주시나요?? 좀 일찍가는데 걸리면 조질거같은데
-
과외에서 국어 문법 가르칠 때 학년별 차이점이라면... 0
어차피 중3이나 고3이나 배우는 문법 개념은 똑같음 근데 차이점이 있다면 의존명사...
-
ㅇㅂㄱ 2
-
2026 인서울 의과대학은 물변표인가요 불변표인가요? 1
변표에 대한 개념이 전혀 없는데, 25수능 정시전형까지는 서성한이 대표적으로...
-
시대 vs강하 0
목동 강하 장학 받으면서 시즌0하고있는데 시대붙었는데 시대가는게 나은가요? 강하에서...
-
ㅈㄱㄴ
-
시간아 빨리가줘
-
96 96 1 98 96인데 CC이면 설인문이나 가장 낮은곳 되는학과ㅠ있을까요?...
-
언매 인강 추천 1
언매 유베이스 기준 언매GOAT 강의가 뭐임?(시대,두각 포함) 언매올인원,...
-
얼?버기 2
글 리젠 속도 와이러노 암튼 기상 성공
-
드디어..!
-
참 슬퍼
-
기차지나간당 10
부지런행
-
얼부기온앤온 6
-
특정안당할려고 이악물고 대학 이름 말안했는데 결국 당했네 난 순수한 사람이야 。◕‿◕。
어 이거 재업인가요 비슷한 글을 봤던 기억이
네 재업입니다. 그때 생략한 내용이 많아서 좀 더 자세히 썼습니다
일본어기원설은 국립국어원이 좋아할듯한 학설이군..
국립국어원은 대부분 인정 안할걸요
아 예외적으로 기억나는건 닭도리탕 같은건 있지만요
어원고의 '고' 한자 저거 맞아요??
네 생각할 고 攷 맞습니다
보통 考 쓰지 않나... 신기하네요
오 생각해 보니 그러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