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hltn [1374073] · MS 2025 · 쪽지

2025-02-04 01:17:38
조회수 369

[정보글]주식 단타하기

게시글 주소: https://showmethescore.orbi.kr/00071768533

1. 준비물

- 국어 5등급이상의 두뇌

-구글 계정

-신용카드


2. 시작하기

 1. 바이낸스 계좌를 만든다. 비자카드 또는 다른 해외 결재가 되는 카드를 이용한다. 

 2. kr.tradingview.com 에 가서 구글 게정으로 로그인 한다.

 3. 프로덕트/슈퍼차트 클릭

 4. 트레이딩 패널 클릭해서 계좌 연결

 5. 차트 설명을 듣는다.

 6. 필요한 지표(무료는 최대 2개)를 넣는다. 

 7. 보고 산다

   



3. 차트란 무엇인가?


차트는 결국은 과거 그래프 개형을 바탕으로한 개형추론 문제이다. (확률 게임이 곁들여진)

  

1. 장대봉과 거래량



위의 차트는 캔들차트이다. 가장 대중적인 차트인데, 마치 초와 같이 생겼다하여 이름이 붙여졋다.  하나의 캔들을 보면 위와 아래에 길다란 막대기가 있다. 이 막대기가 나타내는 것은 시가와 종가이다. 각 캔들은 특정기간을 나타내는데, 1분봉은 1분, 5분봉은 5분의 시간을 나타낸다. 시가는 주어진 구간에서의 시작 가격 고가는 주어진 구간의 최대값, 저가는 주어진 구간의 최솟값, 종가는 주어진 구간에서의 끝값이다. ( f(x+3)-f(x) 와 같은 국밥 문제를 생각하면 편하다).  아래 막대기가 없고 위로 쭉뻗은것이 매우 큰 막대기는 장대양봉이고 ,주가 상승세를 포착할 수 있다. 장대음봉은 그 반대이다.  아래의 히스토그램 처럼 나와 있는 것은 거래량이다. 액면가로 볼 수 있듯이, 거래량은 사람들이 거래한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상식적으로, 거래량은 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힘을 제공한다. 


2. 저항선(resistant line)과 지지선(support line)

저항선은 주가가 상승하다가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는 선이다. 이는 여러분의 심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가령 당신이 보유한 도지코인이 3분에 20% 상승했다 치자. 그러면 "가즈아!"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 좀 불안한데"해서 매도하는 이도 있을것이다. 이러한 사람들의 집단지성은 차트에서 특정한 패턴을 나타낸다. 이것이 바로 저항선인것이다.  지지선은 반대로 주가가 하락할떄 생기는 선이다. " 주가를 저항하는 선"이 저항선 "주가를 지지하는 선"이 지지선이다. 저항선과 지지선은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이걸 다 외울 필요는 없지만, 그래프가 특정 접선에 접하는 형태로 보이면 그 접선을 그어주는 것이다. 이 선들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지지선에 매수하고 저항선에 팔거나(시장이 변동성이 작을때) 아님 저항선을 뛰어넘는 개형을 보이면 매수하는 전략등이 있다.


단순한 지지/저항선

  

    다 외워야할 것 같지만 쓸데없다. 걍 옯평균 수학 백분위 98 이니 여러분이 22번 풀떄 가지는 동물적인 감각으로 그으면 된다.

3. 주문 방식(order)

주문 방식에는 크게 시장가 주문(Market Order) 과 지정가 주문( limit order)이 있다. 

위 표에서 정리를 굉장히 잘해놓았는데, 우리는 그떄 그떄 바로 체결하는 시장가 주문을 주로 할 것이다. 

지정가는 장기투자자들이 하는 것이다. 


4. 숏과 롱

 가장 흔히 쓰는 용어중 하나이다. 

숏은 싸게 사고 비쌀때까지  버티기 이고

롱은 비쌀때 팔고 쌀때 다시 산다는 개념이다


(단순하죠?)


5. 여러가지 유용한 지표


1. 이동평균선 (Moving Average Line)


이동평균선은 특정 기간 동안의 평균 가격을 계산하여 차트 위에 나타낸 선이다.

 원리:

   특정 기간 동안(예: 5일, 20일)의 종가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이어서 선으로 표시한다.

   단기선(5일), 중기선(20일), 장기선(60일)을 활용하여 추세의 방향을 분석한다.

   

활용:

   골든크로스: 단기선이 장기선을 상향 돌파 → 상승 신호.

   데드크로스: 단기선이 장기선을 하향 돌파 → 하락 신호.

→ 이동평균선은 가격의 추세와 지지/저항을 예측한다.



**심화(약간 어려움)

  -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원리:

    1.    MACD 라인:

    •    단기 이동평균선(보통 12일) - 장기 이동평균선(보통 26일).

    •    두 이동평균선 간의 차이를 통해 시장의 모멘텀을 측정.

    2.    신호선(Signal Line):

    •    MACD 라인의 9일 단순 이동평균(SMA).

    •    MACD 라인과 신호선의 교차를 매수/매도 신호로 해석.

    3.    히스토그램(Histogram):

    •    MACD 라인과 신호선의 차이를 막대 그래프로 나타낸 것.

    •    막대가 커질수록 모멘텀이 강해짐.

      

활용:

    •    골든크로스:

    •    MACD 라인이 신호선을 상향 돌파 → 상승 신호.

    •    데드크로스:

    •    MACD 라인이 신호선을 하향 돌파 → 하락 신호.

    •    다이버전스(Divergence):

    •    가격과 MACD의 방향이 다를 때 추세 전환 가능성.


→ MACD는 시장의 모멘텀 변화와 추세 강도를 분석한다.



보다 싶이, 단기에서 장기를 뺀 차이함수이다. 이 차이함수는 "과거에 비해 현재가 얼마나 변했는지"를 다루며, 이는 현재의 모멘텀, 즉 변하는 추세를 의미하게 된다.

-가중이동평균(wma)

가중 이동평균은 최근 데이터에 더 큰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균을 계산하는 이동평균 방식

현재의 추세를 더 잘 반영한다. 

파란색 선인데 아주 찰삭 달라 붙어 있다.



2. 볼린저 밴드( bollinger band, bb band)

가격 변동성(volatility)을 시각화하고, 현재 가격이 과매수(너무 비싸짐)인지, 과매도(너무 싸짐)인지를 판단하는 데 사용하는 기술적 분석 도구 


구성 요소

    1.    중심선 (Middle Band):

    •    기준선, 일반적으로 20일 단순 이동평균선(SMA).

    •    기준선은 가격의 평균적인 움직임을 나타냄

    2.    상단선 (Upper Band):

    •    중심선 + (표준편차 × n).

    •    기본값: 중심선 + (2 × 표준편차).

    3.    하단선 (Lower Band):

    •    중심선 - (표준편차 × n).

    •    기본값: 중심선 - (2 × 표준편차).


원리

    •    표준편차는 가격의 변동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변동성이 클수록 상단선과 하단선이 벌어지고, 변동성이 작을수록 좁아짐

    •    가격은 항상 밴드 안에서 움직이려는 성질




활용법

    1.    과매수와 과매도 확인:

    •    상단선에 닿으면 과매수 상태 → 가격 하락 가능성.

    •    하단선에 닿으면 과매도 상태 → 가격 상승 가능성.

    2.    밴드 수축과 확장:

    •    밴드가 좁아질 때(수축): 변동성이 줄어들며 큰 움직임이 다가올 가능성이 큼.

    •    밴드가 넓어질 때(확장): 변동성이 커지고 강한 추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큼.

    3.    추세 확인:

    •    가격이 밴드 상단을 따라 올라가면 강한 상승 추세.

    •    가격이 밴드 하단을 따라 내려가면 강한 하락 추세.





여기서 보면, 3일에 비해 오늘 아침 변동성이 매우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가격이 볼린저 밴드의 윗부분에 닿였을때, 다시 내려가는 것을 볼 수 있다.



-rsi ( 상대 강도 지수)

RSI는 상대 강도 지수라는 뜻

 가격의 상승과 하락 강도를 비교하여 시장이 과매수(overbought)인지 과매도(oversold)인지 판단하는 기술적 지표



원리


RSI는 일정 기간 동안의 평균 상승폭과 평균 하락폭을 계산하여 현재 가격 움직임의 강도를 측정

    •    RSI 값은 0부터 100 사이의 숫자로 표시

    •    공식:


아 수식 편집기 왜 없는데 개발자아ㅏㅏ


    •    RS (Relative Strength):

    •    RS = (평균 상승폭) ÷ (평균 하락폭).

    •    일정 기간 동안 상승한 날의 평균 폭과 하락한 날의 평균 폭의 비율


RSI 값의 해석

    1.    과매수 상태 (Overbought):

    •    RSI > 70 → 가격이 지나치게 많이 올라 조정(하락)이 올 가능성.

    2.    과매도 상태 (Oversold):

    •    RSI < 30 → 가격이 지나치게 많이 떨어져 반등(상승)이 올 가능성.

    3.    중립 구간:

    •    RSI가 50 부근 → 상승과 하락의 강도가 균형 잡혀 있는 상태.



활용법

    1.    과매수/과매도 구간 확인:

    •    RSI > 70: 매도 신호 가능성.

    •    RSI < 30: 매수 신호 가능성.

    2.    다이버전스(Divergence):

    •    가격과 RSI의 방향이 반대로 움직일 때, 추세 전환 가능성 있음.

    •    가격이 상승하는데 RSI가 하락 → 하락 가능성(매도 신호).

    •    가격이 하락하는데 RSI가 상승 → 상승 가능성(매수 신호).

    3.    추세 확인:

    •    RSI가 50 위에 있으면 상승 추세로 간주.

    •    RSI가 50 아래에 있으면 하락 추세로 간주.

    4.    추세선 돌파:

    •    RSI가 50을 돌파하거나, 과매수/과매도 구간에서 벗어날 때 매수/매도 타이밍으로 활용.





여기 볼린저 밴드랑 같이 사용하는데, 내 경험상 rsi가 가격 하락을 알려주는 가장 마지막 지표인것 같다.



rare-우매함의 봉우리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