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졸업함 16
실감이안나네 서울대 붙었으면 좋겠다
-
둘이 공통점이 이미 천주교랑 불교라는 오리지널이 있는데 차이점은 사제(또는 단체)가...
-
안녕하세요 13
오르비 안녕~
-
남자로 눈을 넓혀도 12
난 안될 것 같다
-
야설 시킨거 왔다 14
생명과학2 교재 왔음
-
"유출 의혹만으로 시험무효 불가"…1심 판결 뒤집은 광장 15
법무법인 광장이 연세대 수리논술 시험문제 유출 논란과 관련한 가처분 소송에서 구체적...
-
나도 더 열심히 할텐께
-
난 약대 가면 11
약사될 듯 아닌가
-
오늘 하체네 11
씨발!
-
사람도 없던데 정신을 어디다 둔거임
-
피씨방 옴.... 10
게임하러 오는건 진짜 오랜만이네
-
진짜 모르겠네 어케하지
-
프로그램 실행하고 PDF 파일 입력하고 종류만 선택하면 바로 PDF에서 문제 구역...
-
동생 요청으로 집에서 우블렉 만듦 전분이랑 물 섞어서
-
동국대 새터 7
아직 일정 안나온거죠? 에타에 찾아봐도 단과대 인스타나 단톡방 확인하라는데 아무것도 없어서..
-
어디정도였으면 좋겠음?
긴게필요한사람도잇음
누군진모르겟는데아무튼잇다고생각함
논리만 딱 깔끔하고 정확하게
납득이 된다면 당연히 짧은게
너무 길면 잘 안읽게 되고
실전에 적용하기도 짧은 해설이 편한듯요
수험생 입장에서 봤을때
국어 기준 해설은 짧고 논리적이며 일반화 가능해야함
국어만 봤을 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간결한 풀이와 분석용으로 끝까지 씹고 이해할 수 있는 긴 풀이 모두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너무 간결하면 사고 흐름을 놓칠 수 있긴 하죠
전 수학에서 그런 경우 가끔 있었습니다
기출 분석용으로는 긴게 나은거같은데
상위권으로 갈수록 부연설명이 필요없어지는데
반대로 독해력이 부족한 하위권일수록 긴 해설이 필요할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