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월 [1360865] · MS 2024 · 쪽지

2025-02-12 09:14:33
조회수 2,511

칼럼[5] : N회독의 허상

게시글 주소: https://showmethescore.orbi.kr/00071946606

[성적 인증]

https://orbi.kr/00071836019

[칼럼글 모음]

https://orbi.kr/00071856903





안녕하세요



짤막한 다섯 번째 공부 이야기


[5] N회독의 허상

부제 : 올바른 반복 학습법


으로 인사드립니다


(길지 않은 글이지만, 바쁘시다면 2번 문단을 읽어 주세요)




입시 커뮤니티를 하면서 정말 많이 마주하게 되는

참 안타까운 질문들이 있습니다


"몇 회독이나 해야 하나요? 3회독 하면 될까요?"

"개념 2회독 할 때 강의도 전부 다시 보나요?"

"기출 몇 번이나 다시 봐요? 이미 답을 아는데?"


아마 상위권 분들이라면

벌써부터 눈살이 찌푸려질지도 모르겠어요

그런 분들은 좋아요만 눌러주시고 뒤로가기하셔도 됩니다


이 칼럼을 급하게 준비한 이유는

이런 질문들을 정말 진심으로 올리시는,

반복 학습에 대해 전혀 이해하고 계시지 못한 분들이

최근 꽤 많이 눈에 띄었기 때문입니다

사실 매년, 매 시기 올라오는 질문이지요

저런 질문들에는 답글도 잘 달리지 않더군요


오늘 글을 통해 반복 학습, 소위 N회독이 정확히 무엇이며

N회독에서 N의 크기에 집착하는 것이 얼마나 쓸데없는지

조금이나마 알아가실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요새 많이 바쁩니다

이것도 새벽에 쓰고 있어요...최대한 간결하게 핵심만 전달해 볼게요

준비 중인 [지2 기출 미리보기]는 빠르면 이번 주

늦어도 다음 주까지 업로드할 수 있도록 시간을 긁어모아 보겠습니다



좋아요, 팔로우는 큰 힘이 됩니다 :)






1. N회독의 의의


N회독은 말 말 그대로 같은 책을 n(n>1)번 보는 행위를 말해요

왜 같은 책을 여러 번 볼까요?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지요

우리는 학습한 모든 내용을 한 번에 머리에 넣지도 못하고

컴퓨터처럼 한 번에 장기 기억으로 만들지도 못하니까요

그래서 같은 교재를 여러 번 반복 학습하여

그 책의 모든 내용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내가 빠뜨린 내용은 없나, 더 뽑아낼 것은 없나

점검하고 담금질하는 거지요


"N회독"......

취지도 좋고 말도 좋아요

다만, 그 의의를 완전히 망각한 듯한

N회독 그 자체를 위한 N회독을 하시는 분들이 있어요


나 개념서 10회독 했다

나 기출 5회독 했어

나 강의 두 번이나 봤어


그래놓고도 아직 모르는 지엽 개념이 있고

기출은 한 가지 풀이만 알고 약간만 변형되어도 못 풀어요


명심해야 하고, 경계해야 합니다




N회독은 당신의 커리어가 아닙니다




이 말을 반드시 기억하세요

개념을, 기출을 10회독 20회독을 했다고

아무도 알아주지 않습니다

냉정하지만 남는 건 점수뿐이고

누구는 5회독만 하고도 개념을 빠삭하게 알고 있고

누구는 100회독을 해도 아는 것만 압니다






2. 올바른 반복 학습법


위의 이야기가 자신의 이야기라고 생각된다면

차분히 읽어 주세요

길지 않아요


위에서 말씀드렸듯

N회독의 목적한 권의 책을 완전히 내 것으로 만드는 거에요

그렇다면, 여러 번의 반복 학습에서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원칙이 무엇인지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어요


맞습니다

내가 잘 모르는 것을 반복 학습해야

N회독의 효과를 제대로 누릴 수 있겠죠

사실 이건 모든 학습의 기본입니다

모르는 것을 하나 더 알아갈 때 점수가 올라요

하지만 많은 중하위권 학생들은, 잘하는 부분만 계속 공부하고

개념서도 아는 것만 보고 또 보면서 더는 공부할게 없다고 말합니다




올바른 N회독을 하기 위해 필요한 전제가 있겠지요

내가 뭘 모르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문제집 N회독은 이것이 어렵지 않아요

내가 틀린 문제, 내가 효율적으로 풀지 못한 문제를

잘 체크해 두었다가 다시 풀어보고, 다른 방향을 고민하고

그렇게 2차로 걸러낸 문제를 다시 풀고

간단합니다




문제는 개념서 N회독이지요

사탐이든, 지구과학이든, 생명과학이든

뭔가 외울 것이 많고 개념서 회독이 필요하기는 한데

어떻게 봐야할지 막막하실 수 있어요

제가 권해드리고자 하는 방법은

처음부터 회독을 염두에 두고 공부하는 것입니다


1회독 첫 단원부터

모든 글자를 놓치지 않고

지엽 개념도 전부 외워 가면서

도장깨기 하듯이 한 단원 한 단원 격파한다?

아마 1단원만 너덜너덜해지고 뒤로 갈수록 지치시겠죠

2회독같은건 하고 싶지도 않을 거에요

그렇지만 세세한 내용은 다 까먹겠죠


개념서나 독학서를 효율적으로 공부하는 방법은

완벽하게 공부하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는 것이 아닙니다

스케치북 한 면을 연필로 검게 칠해본 적이 있나요?

한 번에 아주 진하게, 같은 방향으로 계속 연필을 문지른다면

어떤 부분은 진해지고 어떤 부분은 끝까지 펜이 잘 안 닿습니다

효과적으로 칠하는 방법은

가볍게, 여러 방향으로 칠하는 것이에요

처음엔 가로 방향으로 한 겹 칠하고

세로 방향으로 한 겹 덧대고

대각선 방향들로

그 사이 방향으로

...

그렇게 펜을 움직이는 방향을 바꿔가며 한 겹씩 덧대다 보면

어느새 고르게, 빈틈없이 채워진 지면을 볼 수 있어요


반복 학습에 대한 논의는 이 예시와 정확히 들어맞아요

똑같은 태도로 개념을 읽고 또 읽어봐야

같은 강의 전체를 두 번 세 번 수강해 봐야

같은 방향으로 펜을 문지르고 있을 뿐이라는 거에요


과학탐구 개념으로 예를 들면

1회독에서는 핵심 개념을 이해하고, 암기하고, 공식을 외우고

2회독에서는 약간 더 곁다리 내용까지 신경쓰고

3회독에서는 지엽적인 사항들만 골라서 암기하고

4회독에서는 실험이나 자료에 집중하여 읽어 보고

5회독에서는 내 눈길이 닿지 않은 부분만 골라낸다는 생각으로 보고


수학 기출로 예를 들자면

1회독에서는 문제들을 풀어내는 데 집중하고

2회독에서는 잘 안 풀린 문제들을 걸러내어 익숙해지고

3회독에서는 문제들로부터 유도하여 정리할 만한 사실들을

4회독에서는 다른 방향(그래프로 풀었으면 수식으로)으로 접근해보고


이러한 방식으로, 선을 그어나가는 방향을 바꾸듯이

한 번 한 번의 회독에는 컨셉이 확실해야 해요

이번 1회독을 통해 이뤄내고자 하는 목표가 확립된 상태라야

의미 없는 회독 수 늘리기가 되지 않아요






3. 마치며


오늘은 상위권 분들은 지루할 만한 내용이었습니다

그렇지만 중요한 태도라고 생각해요

회독을 커리어 쌓듯 생각하면서

의미없이 3회독하면 되나요, 4회독은 해야 하나요

이런 고민을 가지고 계시던 분들이

이번 글을 통해 조금이나마 도움을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다음 칼럼


[2/2] 지2 기출 미리보기에서 찾아뵙겠습니다

유익했다면 좋아요,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성적 인증]

https://orbi.kr/00071836019

[칼럼글 모음]

https://orbi.kr/00071856903



rare-Spotify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